본문 바로가기

기타지역

15-20 덕풍계곡 문지골, 용소골 오지산행 (용소골편).

728x90

응봉산 덕풍계곡 문지골, 용소골 오지 산행

:2015년 9월 16일 산행 (295-2015-20) - 청솔, 녹두장군외 1명.

 

 

용소골 협곡.

 

 

 

덕풍산장 - 문지골(아침) - 임도 - 폐광숙소터 - 폐광터 - 용소골(점심) - 덕풍산장

: 약 18km, 9시간 21분 소요 (휴식및 아침, 점심시간 포함)

 

03:00 - 진주출발  <백두대간 기준>.

07:12 - 덕풍산장 출발 <등산시작>.

07:43 - 제2폭포.

07:53 - 08:23 <아침>.

08:40 - 제3폭포.

08:52 - 제4폭포.

09:49 - 제5폭포.

10:11 - 제6폭포.

11:16 - 임도및 폐광숙소터.

11:54 - 폐광터.

12:20 - 용소골 제3용소.

12:23 - 13:21 <점심>.

15:40 - 용소골 제2용소.

16:11 - 용소골 제1용소.

16:34 - 덕풍산장 <등산종료>.

<알탕및 막걸리 타임>.

17:10 - 덕풍계곡 출발.

21:10 - 진주도착 <백두대간 기준>.

<하산주및 뒤풀이>.

 

 

 

 

 

 

 

 

문지골 끝점에서 사면을 치고 올라 임도를 지나 폐광숙소터에서 계곡으로 내려 꽂는 하산길에 접어든다.

말 그대로 개척산행이다.

상류를 봐서는 도저히 용소골의 절경이 상상되어지지 않는 어지러운 산세다.

오늘 산행대장인 녹두장군 눈에서도 용소골로 진입했는지 자신없는 눈빛이다.

"형님 오늘 용소골 못 보면 진주 안갈난께 알아서 하소"

반 협박에

"오늘 책임지고 용소골 구경시켜 줄께"

하는 소리에 안도하고 발길을 잇는다.

 

 

 

 

개척산행.

 

 

 

 

 

 

폐광터.

 

 

 

 

 

 

폐광터에서 이어지는 임도.

 

 

 

 

 

 

제 3용소 상부.

 

 

 

 

 

 

제3용소로 이어지는 물길.

 

 

 

 

폐광터가 나오고 이어지는 임도를 따르니 계곡미가 떨어진다.

원시림의 모습은 간데없고 사람의 흔적에 실망감이 밀려든다.

다행히 임도는 우측으로 돌아 사라지고 일행은 좌측 용소골로 접어든다.

용소골의 제3용소가 일행을 반기고 잠시 점심 먹고 가라고 자리를 깔아준다.

삼겹살에 송이를 구워  소맥으로 산행중 최고의 즐거움인 점심시간을 즐긴다.

 

 

 

 

용소골 제3용소.

 

 

 

 

 

 

제3용소 폭포.

 

 

 

 

 

 

 

 

 

 

 

 

 

 

 

 

 

 

 

 

 

 

 

 

 

 

 

 

 

 

 

 

 

 

 

 

 

 

제3용소와 제2용소까지 2시간 하산.

중간에 협곡부가 없었다면 엄청 먼 거리다.

왼쪽으로 휘감으면서 바위물길을 형성한 협곡부는 용소골 최고의 비경이 아닌가 싶다.

사방에 우둑 솟은 바위 병풍이 협곡을 호위하는 모습이 압권이 아닐 수 없다.

협곡부에서 절경을 즐기며 잠시 쉬어간다.

 

 

 

용소골 협곡부.

 

 

 

 

 

 

 

 

 

 

 

 

 

 

 

 

 

 

 

 

 

 

 

 

 

 

 

 

 

 

 

 

 

 

 

 

 

 

 

 

 

협곡부 콧구멍 바위.

 

 

 

 

 

 

용소골 협곡부를 빠져나오며.

 

 

 

 

 

 

 

 

 

 

 

 

 

협곡부를 빠져나와.

 

 

 

 

 

 

 

 

 

 

 

 

 

구절초.

 

 

 

 

 

 

 

 

 

 

 

 

 

 

 

 

 

 

 

 

 

 

 

 

 

 

 

용소골 제2용소.

 

 

 

 

제2용소 오른쪽 사면을 타고 내려와 폭포를 올려다 본다.

흐르는 땀을 훔치며 용소에 뛰어 들고픈 생각이 밀려든다.

한여름 많은 사람들에게 휴식과 감동을 주었을 용소골.

절경과 신비로움을 간직한 원시의 계곡이다.

 

 

 

 

 

 

 

 

 

 

 

 

 

 

 

 

 

 

제2용소 폭포.

 

 

 

 

 

 

 

 

 

 

 

 

 

 

 

 

 

 

 

 

 

 

 

 

 

 

 

 

 

 

 

 

 

 

 

 

 

 

 

 

 

깊은 소에 용이 숨어 있을 듯 .

 

 

 

 

 

 

 

 

 

 

 

제1용소는 협곡부에 위치하고 있어 용이 살 듯한 신비로움을 간직하고 있다.

파랗다 못해 시꺼멓게 보이는 용소의 깊이는 눈으로 가늠하기에 역부족하다.

용소골을 오른다면 제1용소까지만 진행해도 후회하지 않은 트레킹이 되지싶다.

실제 제1용소까지는 길이 잘 정비되어 접근성이 양호하다.

 

 

 

 

용소골 제1용소. 

 

 

 

 

 

 

 

 

 

 

 

 

제1용소.

 

 

 

 

 

 

 

 

 

 

 

 

 

제1용소에서.

 

 

 

 

 

 

 

 

 

 

 

길고 긴 문지골, 용소골 산행을 덕풍산장에서 마친다.

산장 수돗가에서 간단한 등목을 하고 도토리 묵에 막걸리 한잔씩 하고 진주로 향한다.

돌아 오는 길이 피곤치 않다.

또 하나의 절경과 하나된 하루.

밀려드는 포만감에 배부른 하루 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