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도권

539-22-12 고흥 마복산.

728x90

암릉이 아름다운 마복산  : 2022년 4월 2일 산행.

 

 

마복사 삼거리 - 마복사 - 467.4봉 - 마복산. 점심 - 마복송 -  전망바위(선바위 탐색) - 해재 - 마복사 삼거리  : 7.1km(gps기준) , 약  4시간 09분 소요 (점심 및 휴식시간 포함, 천천히)

 

 

고흥 팔영산, 천등산, 봉래산에 이어 마복산을 찾는다.

이동거리와 산행 시간을 감안하면 여유롭운 암릉 탐사에 안성맞춤인 산이다.

말이 누워 있는 형상을 한 마복산.

암릉과 바다, 진달래가 어우러져 남도의 진면목을 느끼고 온 멋진 산이었다.

 

 

 

 

 

 

 

 

 

마복사 삼거리에 주차를 하고 마복사를 지나 마복산으로.

 

 

 

 

 

 

암릉을 오른쪽에 끼고 오르는 길이 있지만 암릉을 따라  조망을 즐기며 천천히 오른다.

 

 

 

 

 

 

넓은 반석 위에서 막걸리 한잔.

 

 

 

 

 

 

진달래 박힌 바위 위에서 여유를 즐긴다.

 

 

 

 

 

 

 

 

 

 

 

 

 

기이한 바위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

 

 

 

 

 

 

거북바위.

 

 

 

 

 

스핑거스바위.

 

 

 

 

 

 

467.4봉에 오르니 해창만이 눈을 시원케 한다.

 

 

 

 

 

 

해창만.

 

 

 

 

 

남산제비꽃.

 

 

 

 

 

 

 

 

 

 

 

 

 

지나온 467.4봉.

 

 

 

 

 

 

팔영산.

 

 

 

 

 

 

나로도 방향,

 

 

 

 

 

 

마복산.

 

 

 

 

 

 

마복산에서 점심을 먹고 쉬어간다.

 

 

 

 

 

 

현호색.

 

 

 

 

 

 

마복산과 봉수대.

 

 

 

 

 

 

 

 

 

 

 

 

 

 

 

 

 

 

 

 

 

 

 

 

 

시원한 바다조망이 탁월하다.

 

 

 

 

 

 

 

 

 

 

 

 

반송인 마복송.
수령 120년.

 

 

 

 

 

용틀임한 마복송.

 

 

 

 

 

지붕바위.

 

 

 

 

 

 

 

 

 

 

 

 

 

투구바위.

 

 

 

 

 

 

배낭을 벗어 두고 선바위 탐색에 나선다.

 

 

 

 

 

 

한산할 암릉.

 

 

 

 

 

첫 번째 선바위가 보이고.

 

 

 

 

 

달팽이를 닮은 바위.

 

 

 

 

 

첫 번째 선바위.

 

 

 

 

 

선바위 암릉.

 

 

 

 

 

 

두 번째 선바위까지 내려선다. 돛대바위라고도 한다.

 

 

 

 

 

 

올려다본 첫 번째 선바위.

 

 

 

 

 

 

얼굴바위 크기가 어마하다.

 

 

 

 

 

두 번째 선바위.

 

 

 

 

 

 

 

 

 

 

 

 

 

선바위 탐색을 마치고 흔들바위가 있는 암릉지대로.

 

 

 

 

 

 

 

 

 

 

 

 

 

맞은편 탐색을 마친 선바위 암릉이 한눈에.

 

 

 

 

 

 

 

 

 

 

 

 

 

 

 

 

 

 

 

 

 

 

 

 

 

 

 

 

 

 

 

 

 

 

해재 - 차로 오를 수 있는 전망대가 있다.

 

 

 

 

 

 

임도에서 본 선바위 암릉.

 

 

해재에서 임도를 따라 원점 회귀.

고흥과 여수를 연결한 연륙교를 지나 집으로.

하산주는 집에서 한우고기에 소주 한잔.

오랜만에 아내와 함께한 진달래, 야생화가 반기는 남도 산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