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출산

19-40 월출산 못지 않은 주지봉,문필봉,월각산 암릉 - 월출산국립공원,

728x90

문필봉과 월각산 바위 탐방기.

: 2019년 12월 22일 산행 (431-2019-40) - 비경마운틴 송년산행.

 

 

왕인유적지(10:06) - 양사재/문산재(11:00) - 책굴,왕인석상 - 죽순봉(12:06) - 주지봉,점심(12:30 -13:10) -  문필봉(13:28 ) - 월각산(15:39) - 월산교차로(17:37) :15.31 km(gps기준) , 약 7시간31분소요(점심및 휴식시간 포함, 빠르게).

 

 

 

 

 

 

 

 

문필봉,주지봉,월각산은 월출산국립공원에 속하면서도 월출산의 기세에 눌린 듯 하다.

하지만 숨어 있는 암릉미가 뛰어나고 특히 문필봉 암봉의 기세는 월출산 그 어느 곳에 뒤지지 않는다.

푹신한 육산길을 걸어 산행의 대미를 장식하는 월각산 암봉에서 맞는 일몰은 오늘 산행의 백미로 다가온다.

산에서 희노애락을 함께한 많은 산우들을 생각하며 남도의 명산에서 조용히 2019년 산행을 마무리한다.

 

 


 왕인 기념관인 영월관.

 

 

 

 

 

 


왕인박사가 일본에 전파한 천자문.

 

 

 

 

 

 


왕인문화체험길을 한시간 걸어 양사재/문산재에 도착한다.

 

 

 

 

 

 

 

문산재.

 

 

 

 

 

 


왕인석상.

 

 

 

 

 

 

 

 

 

 

 

 

 

 

 


왕인석상 오른쪽 책굴.

 

 

 

 

 

 

 

책굴내부에 계란과 소주가 놓여져 있다.

 

 

 

 

 

 


책굴내부 - 왕인박사가 홀로 공부하던 곳이라 한다.

 

 

 

 

 

 

 

구룡마을과 상,하은적산 조망.

 

 

 

 

 

 

 

월대암.

 

 

 

 

 

 

 

 

 

 

 

 

 

 

 

왼쪽으로 월출산 노적봉,구정봉,천황봉.

 

 

 

 

 

 

 

죽순봉이 보인다.

 

 

 

 

 

 

 

 

 

 

 

 

 

 

 

 

 

 

 

 

 

 

 

 

 

 

 

 

 

 

 

 

 

 

 

 

 

 

 

 

 

 

 

 

 

 

 

죽순봉.

 

 

 

 

 

 

 

 

 

 

 

 

 

 

 

 

 

 

 

 

 

 

 

 

 

 

 

 

 

 

 

 

 

 

 

 

 

 

 

죽순봉 통천문.

 

 

 

 

 

 

 

죽순봉.

 

 

 

 

 

 

 

죽순봉 뒤로 이어지는 암봉이 압권이다.

 

 

 

 

 

 

 

 

 

 

 

 

 

 

 

주지봉.

 

 

 

 

 

 

 

주지봉과 문필봉 사이 안부에서 점심을 먹고 문필봉 등정.

 

 

 

 

 

 

 

난코스지만 밧둘이 있어 수월하게 오른다.

 

 

 

 

 

 

 

문필봉.

 

 

 

 

 

 

 

 

 

 

 

 

 

 

 

암봉으로 이동.

 

 

 

 

 

 

 

이동한 암봉에서 문필봉 정상을 보며.

 

 

 

 

 

 

 

하산.

 

 

 

 

 

 

 

이후 땅끝기맥을 따라 월각산까지 부드러운 육산길을 2시간을 걷는다.

 

 

 

 

 

 

 

월각산에서 본 문필봉과 주지봉.

 

 

 

 

 

 

 

422암봉을 오른다.

 

 

 

 

 

 

 

 

 

 

 

 

 

 

 

 

 

 

 

 

 

 

 

우울한 둘리바위.

 

 

 

 

 

 

 

 

 

 

 

 

 

 

 

이별의 키스를 나누고.

 

 

 

 

 

 

 

 

 

 

 

 

 

 

 

횃불바위.

 

 

 

 

 

 

 

 

 

 

 

 

 

 

 

422암봉 정상.

 

 

 

 

 

 

 

지나온 422 암봉 뒤로 411봉이 보인다.

 

 

 

 

 

 

 

엉덩이를 곧추세운 강아지바위.

 

 

 

 

 

 

 

암릉을 타고 진행해 보지만 3m 직벽에서 길이 막혀 우회한다.

짧은 자일만 있었다면 암릉을 자났을텐데 아쉬움이 진하다.

 

 

 

 

 

 

 

암봉을 우회해 암릉을 뒤돌아 본다.

 

 

 

 

 

 

 

422암봉 왼쪽으로는 411봉,주지봉,문필봉이 보이고 오른쪽으로는 월출산이 살짝.

 

 

 

 

 

 

 

 

 

 

 

 

 

 

 

 

 

 

 

 

 

 

 

 

 

 

 

 

 

 

 

 

 

 

 

월출산보다 화려하지 않고

그 옆에 있기에 살짝 이름이 묻힌듯 하지만

그렇기에 더 깊이 바라보고 더 친근하게 다가오는 암봉 연속.

주지,문필,월각

부드러운 육산길과 아름다운 암봉을 간직한 아름다운 겨울 산행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