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월출산 도갑사 해탈문, 마애여래좌상(2019년 1월 18일) - 국보 제50호.국보 제155호.

728x90

영암 월출산 도갑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 50호  도갑사 해탈문.

국보   제155호  용암사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 89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1134호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보물 제1395호  도갑사도선수미비.

보물 제1433호  도갑사 오층석탑.

보물 제1283호  용암사지 3층석탑.

 

 

 

 

 

 

 

 

 

 

 

 

국보 제50호 - 도갑사 해탈문(1473년 건축).

 

 

 

 

 

 

규묘나 양식이 대단하지 않지만 국보급이라 의아해 이유를 찾아본다.

 

 

 

 

 

 

전체적으로는 주심포의 건축수법을 따르면서 부분적으로는 다포계 건축수법을 반영한 특징을 보여준다

 

 

 

 

 

 

 맞배지붕과 배흘림 기둥을 가졌다.

 

 

 

 

 



 

 

 

 

 

 

공포가 기둥과 도리 사이에 있는 주심포식 양식과 대들보와 도리사이에 있는 다포식 혼재한 특이한 양식이다.

 

 

 

 

 

 

 

 

 

 

 

 

 

주심포와 다포식이 혼재해 있는 특이한 양식.

 

 

 

 

 

 

보물 제1134호  영암 도갑사 목조보현,문수동자상(모조품).

 보현동자

문수동자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실제 목조보현,문수동자상






 

 

 

 

 

 

 

 

 

 

 

 

 

 

 

 

도갑사 오층석탑 - 보물 제1433호.

 

 

 

 

 

 

 

 

 

 

 

 

 

 도갑사 석조(전남유형문화재 제150호) - 300년된 석조.

 

 

 

 

 

 

승려들의 마실 물을 닮아 두었다고 한다.

 

 

 

 

 

 

길이 467cm, 폭 116cm, 높이 85cm.

 

 

 

 

 

 

 

 

 

 

 

 

 

 

 

 

 

 

 

 

 

 

 

 

 

 

 

보물 제1395호  도갑사도선수미비 - 높이 517cm.

 

 

 

 

 

 

탑비 측면부 운용문



 

 

 

 

 

도갑사 부도군.

 

 

 

 

 

 

 

 

 

 

 

 

 

보물 제89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대웅보전(전남유형문화재 42호)과 북쪽에 위치한 삼층석탑. 남쪽에는 5층석탑이 위치한다.

 

 

 

 

 

 

국보 제155호    용암사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83호  용암사지 3층석탑.

 

 

 

 

 

 

여름에 찾은 용암사지 3층석탑.